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전체 글

동양과 서양의 리더십 차이 동양인과 서양인의 일하는 방법의 차이 일 처리과정에서 서양인들은 일을 단계별로 끊어서 진행하지만 한국인은 한꺼번에 모아서 결론을 내는 일괄처리방식에 익숙하다. 이런 차이를 관찰하다 보면 동양과 서양의 문화의 차이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른 동양과 서양에 적합한 리더십이 개발되어 조직의 문화와 경영성과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동양의 리더십과 서양의 리더십의 차이 요즈음 대부분의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은 서양의 리더십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서양의 역사와 문화, 사고가 그 바탕에 깔려있다. 즉, 서양인이 개인 중심적이라면 동양인은 관계중심적이다. 이것을 리더십과 관련한 인재 육성 방법론에 적용해 보자. 서양인의 경우, 더 이상 나누어지지 않는 개인(Individual=Undividable)을 바꾸면.. 더보기
새만금에 우리나라 수도를 옮겨 국가 융성 및 국토 대변혁을 이룩 하자. 1. 새만금에 대하여. 전라북도 군산과 변산반도 사이를 방파제로 막아 여의도 면적의 100배 정도의 간척지가 생겼다. 그곳 새만금에는 만경강과 동진강이 흘러들어온다. 방파제로 막았기 때문에 과거 바다였던 새만금은 이젠 민물 호수가 되었다. 방파제 막기 전에는 바다와 갯벌은 거주민들의 생활의 터전이었다. 각종 바다물고기와 조개류를 잡아먹고 팔고 살았다. 어종도 다양하여 조기, 망둥어, 백합, 아사리, 뱀장어, 참게 등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대통령 선거철만 되면 선거공약에 새만금개발은 단골메뉴였다. 현재의 새만금 개발 진행상황은 지리멸 멸이라 할 수 있다. 작년에도 새만금개발 예산이 대폭 삭감되었다가 부활되기도 하였다. 새만금은 우리나라에 마지막 남은 대규모 미개발 국토이다. 새만금에는 육해공 .. 더보기
차 한잔과 생각 추위가 많이 풀린 것 같다. 설날이 가까워 온다. 우리 살림살이가 낳아졌으면 좋겠다. 대동강물이 녹아 흐르듯이 정치도 경제도 풀리고 국민들 마음도 활짝 피었으면 좋겠다. 더보기
동백꽃 금붕어가 놀고 있는 작은 연못에 동백이 떨어져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더보기
매화 옛등걸에. 매화 옛 등걸에 춘절(春節)이 들아오니, 옛 피던 가지에 피염즉도 하다마는, 춘설(春雪)이 난분분(亂紛紛) 하니 필동말동하여라. : 자기의 이름과 꽃의 이름을 이중(二重)의 뜻이 되게 한 중의법(重義法). : 봄철. : 자기의 늙어진 몸과 고목나무가 된 매화의 이중의 뜻을 지닌 중의법(重義法). : 필 것 같기도. : 봄철에 내리는 눈. : 어지럽게 흩날리는 모양. : 필 듯 말 듯 하구나. 지은이는 에 명기(名技)로 기록되어 있다. 이 시조는 매화(梅花)라는 기생이 유춘색이라는 사람이 평양감사로 부임해 매화와 가까이 지냈으나 나중에는 춘설(春雪)이라는 기생(妓生)을 가까이 하자 매화(梅花)가 원망하며 지었다는 유래가 전해지는 작품이다. 늙은 기녀(妓女)가 매화(梅花)에 붙이어 자탄(自歎)한 노래이다. .. 더보기
추위가 고마운 사람들. 오늘은 금년 들어 제일 추운 날씨다. 추워서 힘든 사람도 있겠지만 추운 것이 도움이 되는 사람들도 많다. 농촌에서는 추워야 해충들이 얼어 죽어 풍년농사짓는데 도움이 된다. 난방용품, 방한복, 방한화등 판매업체는 추위에 특수를 노린다. 스키장이나 얼음낚시 축제장도 추위가 도움이 된다. 추울 때는 어묵탕등 따끈한 국물요리를 먹고 싶어 한다. 명태로 황태를 만드는 덕장도 추위가 반갑다. 추위는 사람을 긴장시킨다. 부지런하게 한다. 4계절이 분명한 나라에 선진국이 많다. 꽁꽁 싸매고 걸으면서 추위를 생각해 본다. 더보기
가람 이병기님의 시 - 별 더보기
인생예찬 [롱펠로우의 인생예찬 원문] Tell me not, in mournful numbers, Life is but an empty dream! For the soul is dead that slumbers, And things are not what they seem. Life is real! Life is earnest! And the grave is not its goal; Dust thou art, to dust returnest, Was not spoken of the soul. Not enjoyment, and not sorrow, Is our destined end or way; But to act, that each to-morrow Find us farther than to-day. Art i.. 더보기

반응형
LIST